|
||
에디터 : 박창민 기자
|
![]() |
트렉(Trek)의 대표 듀얼서스펜션 XC 모델이었던 탑 퓨얼(Top Fuel)이 새로운 29인치 시리즈 수퍼플라이(Superfly)로 대체되며 단종되는 듯이 보였다. 하지만, 퓨얼 시리즈에서 보여주었던 강성 높고 효율적인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과 29인치 및 27.5인치 휠 사이즈로 변화된 탑 퓨얼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는데, 그 중에 알루미늄 버전인 탑 퓨얼 8(Top Fuel 8)을 살펴보자.
풀 플로터 시스템의 부드럽고 강성 높은 리어 서스펜션 |
트렉의 대표적인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으로 잘 알려진 풀 플로터(Full Floater)는 리어샥을 고정하는 두개의 링크가 모두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어떠한 충격에도 부드럽게 작동하고 자연스러운 라이딩을 만들어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동일한 트래블이더라도 더 큰 트래블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사용하는 느낌을 제공하여, 더 과감한 라이딩으로 이어갈 수 있다.
![]() | |
트렉의 풀 플로터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 서스펜션을 고정하는 2개의 링크가 모두 움직이도록 설계하여, 어떤 충격에도 효율적이고 더 큰 트래블의 시스템처럼 느껴진다. |
![]() | |
간단한 링크 고정 볼트의 변경으로 지오메트리를 바꿀 수 있는 '미노링크'가 적용되었다. 5mm 육각렌치 하나면 작업할 수 있는 단순함이 특징이다. |
![]() | |
타원형 형태의 미노링크를 풀어내면 고정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
![]() | |
볼트 부분을 위쪽으로 고정하면 헤드각도가 커지고 BB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
![]() | |
일반적인 세팅은 볼트 부분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는데, 더욱 안정적인 라이딩 포지션의 지오메트리로 사용할 수 있다. |
ABP로 더욱 효율적인 듀얼 서스펜션을 느낀다. |
풀 플로터 시스템과 함께 한 것이 ABP(Active Braking Pivot) 기술로 뒤 허브의 액슬과 링크를 하나로 연결하여, 브레이크의 작동과 서스펜션의 움직임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브레이크를 잡은 상황에서도 서스펜션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며, 피봇의 설계를 통해 뒤 바퀴 드롭아웃의 강성이 강해지는 잇점까지 가져갈 수 있게 되었다.
![]() | |
서스펜션의 링크와 드롭아웃이 하나로 설계된 ABP. 이 기술을 통해 디스크 브레이크와 서스펜션의 움직임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더욱 강성 높은 뒤 바퀴 체결력을 만드는 효과까지 있다. |
알파 플래티늄 알루미늄 소재 적용 |
탑 퓨얼 8은 트렉의 알루미늄 소재 중 가장 높은 등급인 '알파 프래티늄'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냉각 압출과 버티드 가공, 하이드로포밍 등이 적용되어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높고 정교한 설계가 가능한 소재다.
![]() | |
트렉의 최상급 알루미늄 소재인 알파 플래티늄 알루미늄으로 생산된다. |
스마트 휠 사이즈로 자유로운 지오메트리와 사이즈 |
산악자전거의 새로운 스탠다드 휠 사이즈로 자리잡은 29인치와 27.5인치 휠은 각각의 특성에 맞는 지오메트리 설계로 그 장점을 살리고 있다.
트렉은 이 두 휠의 특성을 하나의 모델 라인업에 접목시키고자 '스마트 휠 사이즈'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는데, 15.5인치 이하의 프레임은 27.5인치 휠을 사용하고 그보다 큰 사이즈는 29인치 휠을 적용해 자연스러운 지오메트리 설계를 만들어 낸 것이다.
![]() | |
15.5인치 이하의 프레임은 27.5인치 휠을, 17.5인치 이상의 프레임은 29인치 휠을 채택하는 '스마트 휠 사이즈'를 적용했다. |
제품 이미지 |
블랙 & 화이트, 오로지 2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깔끔하고 단순한 그래픽 디자인을 완성했다. 사용된 모든 부품에도 이런 디자인을 적용하여 다소 포인트 색상이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개인 취향에 맞게 포인트를 줄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더 큰 매력이 될 수 있다.
![]() | |
트렉 탑 퓨얼 8 |
![]() |
![]() | |
시마노 데오레 앞 디레일러의 케이블 루트도 변경되어 더 부드러운 변속을 느낄 수 있다. |
![]() | |
부스트 148mm 허브 사이즈가 적용되어 체인스테이 길이를 줄이고 휠 강성을 더욱 높였다. |
![]() | |
부스트 110과 G2 지오메트리가 적용된 포크 |
![]() | |
기본으로 장착된 타이어는 단단하고 드라이한 노면에 어울리는 제품이다. |
![]() | |
36x22T의 크랭크셋 |
![]() | |
11-36T 10단 카세트 스프라켓 |
![]() | |
체인스테이 가드 |
![]() | |
가변시트포스트의 인터널 루팅을 지원한다. |
![]() | |
다운튜브 가드 |
![]() |
![]() |
![]() |
![]() | |
거친 지형에서 더욱 진가를 발휘하는 탑 퓨얼 |
스펙 및 지오메트리 |
![]() |
제품명 | 트렉 탑 퓨얼 8 (Trek Top Fuel 8) |
프레임 | 알파 플래티늄 알루미늄 |
포크 | 폭스 퍼포먼스 32 플로트, 부스트 100, G2 지오메트리 |
핸들바 | 본트래거 레이스 라이트 |
스템 | 본트래거 엘리트 7도 |
시트포스트 | 본트래거 리듬 엘리트 31.6mm |
안장 | 본트래거 이보크 2 |
변속레버 | 시마노 SLX |
변속기 | 시마노 DEORE(앞), XT(뒤) |
브레이크 레버 | 시마노 DEORE |
브레이크 | 시마노 DEORE |
스프라켓 | 시마노 HG50 11-36, 10단 |
체인 | KMC X10 |
크랭크셋 | 시마노 M627, 36/22 |
B.B | |
휠셋 | 본트래거 무스탕 엘리트 |
타이어 | 본트래거 XR1 엑스퍼트, 29x2.2", 27.5x2.2" |
실측무게 | 12.4kg (15.5 사이즈, 페달 제외) |
소비자가 | 3.290,000원 |
정민혁 프로와의 테스트 라이딩 |
과거 탑 퓨얼의 명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새롭게 설계된 지오메트리, 부드러운 풀 플로터 시스템, 단단하고 드라이한 지형에 적당한 기본 타이어 등이 트렉 탑 퓨얼 8의 전반적인 특징이다.
"서스펜션 세팅에 따라 확연히 바뀌는 느낌이 매우 인상적이고 강성 높은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 덕분에 안정적이면서도 파워있는 라이딩이 가능하다"고 테스트 소감을 전했다.
![]() |
테스트 라이딩에 있어서는 12kg이라는 무게와 듀얼 서스펜션 바이크라는 점에서 업힐 기록이 좋은 편은 아니었다. 특히 최근 비슷한 수준의 자전거와의 비교 테스트가 없어서 상대적으로 더 느리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더 거친 지형에서도 스피드를 유지하고 과감한 다운힐 라이딩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듀얼 서스펜션 XC 바이크의 특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정민혁 강사(제임스 바이시클 에이드)의 최근 테스트 기록 (업힐 2km 코스)
![]() | |
서스펜션의 조절에 따라 성격이 확연하게 바뀌는 것이 탑 퓨얼의 특징이다. |
에디터의 구매 매력도 - 공격적인 XC 라이더를 위한 선택 |
![]() | |
거친 지형에서 더욱 공격적인 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때론 편안하게 트레일을 즐길 수 있는 트렉 탑 퓨얼 8 |
트렉 탑 퓨얼 8은 부드러운 풀 플로터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채택하여 XC 바이크로는 너무 부드러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첫 시승에서 마치 경량 트레일 바이크를 타는 듯한 느낌까지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서스펜션을 단단한(Firm) 모드로 변경하고 라이딩을 시작하니, 강성 높은 리어 스테이의 느낌이 듀얼 서스펜션 XC 레이싱 바이크로의 느낌을 제대로 만들어 주었다.
이렇듯 서스펜션의 간단한 모드 변화만으로 코스에 따른 주행성을 크게 바꿀 수 있다는 점은 큰 매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공격적인 라이딩을 즐기는 XC 라이더라면 가벼운 트레일 라이딩까지 가능한 '탑 퓨얼 8'의 장점이 더 큰 매력으로 다가올 것이다.
관련 웹사이트
트렉바이시클코리아 : http://www.trekbikes.com/kr/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