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디터 : 김수기 기자
|
이번 컬럼의 주제는 '아이와 자전거'다. 생각만 해도 입가에 '아빠미소'가 짓게 되는 주제일 수 있지만 어려운 문제라는 걸 필자도 겪어봐서 알고 있다. 자전거를 선물로 점찍어놓은 부모의 고민을 함께 공유해보자는 의미로 필자의 경험담을 써보고자 한다. 자전거 구매에 정답은 없으니 이런 방법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 읽어주길 바란다.
![]() |
|
아이와 자전거,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
스스로 타게 할 것이냐 VS 자전거에 태울 것이냐 |
아이가 허리를 가누고, 앉기 시작하면 곧 짚고 걷는 단계에 들어선다. 걷기 시작하면 보행기에 아이를 태우고 다리 근육을 쓰게끔 한다. 아빠 라이더는 이때쯤 아이와 함께 라이딩을 꿈꾸며 자전거에 태울까, 유아용 자전거를 사줄까 첫 고민을 한다.
유아용 자전거를 구매하는 것은 문제가 아니지만 본인의 자전거에 태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선택지가 준비된다.
![]() |
|
유아용 자전거는 보통 세발 자전거와 비슷한 형태를 갖고 있지만 아이 스스로 페달링을 하기 보다는 유모차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삼천리자전거 '샘트라이크') |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뒷짐받이에 장착하는 후미형 유아 시트가 있고, 전방에 장착하는 유아 시트가 있다. 후미에 장착하는 방식은 많은 제품이 있지만 아이가 뒤에 있다는 불안감이 있고, 전방형은 페달링 시 다리와 마찰이 생기는 불편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트레일러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보관이나 이동의 제약이 따른다.
![]() |
|
후미형 유아 시트는 저렴한 모델부터 고급 제품까지 다양하지만 아이와 라이딩을 즐기기에 부족함이 있다. (토픽 '베이비시트') |
![]() |
|
전방에 장착하는 유아 시트는 아이와 이야기도 나눌 수 있지만 페달링이 불편하다. (위라이드) |
![]() |
|
위의 제품을 해외 직구로 구매할까 고민도 해봤지만 보유한 자전거에 장착이 불가능해 포기했다. (iBert) |
![]() |
|
트레일러는 보관과 이동의 제약이 있고,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선택이다. (BURLEY) |
필자는 보관이 쉽고, 아이가 전방에 위치하는 방법을 찾는 중 일본 중고자전거를 선택했다. 가격도 그렇게 비싸지 않아 자전거 보관소에 보관할 수 있고, 아이가 앞에 있어서 대화도 나눌 수 있어 내가 원하는 조건에 딱 맞았다.
처음 탔을 때는 핸들링이 불안하고, 여성용이다 보니 안장이 낮다는 단점은 부성애로 극복했다.
![]() |
|
고민 끝에 구매한 것은 일본 중고자전거다. 일본의 엄마들이 애용하는 '마마&차일드' 스타일의 자전거로 페달링이나 보관 등이 자유롭지만 핸들바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
세발자전거 VS 밸런스 바이크 |
두 돌이 지나고, 다음 자전거를 물색하기 시작했다. 이 때 구매리스트는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세발자전거와 밸런스 바이크다.
세발자전거는 아이가 아직 균형 잡으면서 자전거를 탈 수 없기 때문에 가장 많이 판매되는 제품군이다. 세발자전거는 14인치부터 20인치까지 다양한 사이즈가 출시되기 때문에 나이나 키에 맞춰 구매하면 된다.
![]() |
|
보조바퀴가 있으면 혼자 탈 수 있고, 부모가 뒤에서 밀어줄 수 있어 자전거에 재미를 붙이기 쉽다. (삼천리 자전거 '하이킥') |
![]() |
|
자전거를 구매할 때 아이의 키에 따라 휠 사이즈를 선택한다. |
![]() |
|
보조바퀴가 달린 자전거는 보통 16, 18인치까지 출시된다. 보조바퀴를 제거하면 일반 자전거로 변신하니 어리더라도 자전거를 탈 줄 아는 아이에게 좋다. (스페셜라이즈드 '핫락') |
하지만 세발자전거나 보조바퀴가 달린 자전거는 안정감은 있지만 균형감을 키워줄 수 없다. 이에 반해 밸런스 바이크는 균형감각을 키워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처음 탈 때 아이가 어려워할 수 있다.
또 아이가 밸런스 바이크에 익숙해지면 부모가 잠시라도 걷지 못하고 뛰어다녀야 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밸런스 바이크는 빠르면 30개월부터 6세까지 탈 수 있다.
![]() |
|
밸런스 바이크는 균형감각을 키운는 데 더할 나위 좋지만 처음에 잘 넘어지고 걸음마 수준 정도로 느리게 탄다. 밸런스 바이크를 선택할 때는 너무 가볍지 않은 것을 골라야 아이들이 균형을 잡기 쉬우며, 가운데 튜브가 낮게 설계되어 걸을 때 다리에 걸리지 않는 것이 좋다. |
![]() |
|
스페셜라이즈드 '핫워크' |
![]() |
|
자이언트 '푸시바이크' |
![]() |
|
트렉 '킥스터' |
자전거 즐겁게 타는 것보다 안전하게! |
아이는 어른이 상할 수 없는 방법으로 다친다. 왜 거기에 손가락을 넣었을까, 왜 거기서 넘어질까 고민해봤자 헛수고다.
자전거 제조업체도 이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고 개선시켜 날카로운 너트에 고무캡을 씌우고, 체인을 벨트 드라이브로 변경하고, 손을 넣을 수 없게 덮개로 막아버리는 등 대책을 세웠다. 하지만 그에 앞서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부모가 안전에 대해 잘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사고의 대부분은 부모의 방심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 |
|
체인에 다치지 않도록 벨트 드라이브를 장착한 세발자전거 (삼천리자전거 '벨토') |
![]() |
|
헬멧을 쓰기 싫어하는 아이도 있겠지만 부모가 같이 헬멧을 쓴다든지 해서 아이가 헬멧과 친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카스코 '미니 제너레이션') |
자전거도 안전하게 타면 즐거운 추억이 되지만 잘못된 라이딩 습관은 떠올리기 싫을 수 있는 악몽으로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즐겁게 자전거를 타는 어린이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보면서 '아빠미소'를 지어보자.
아이들의 친구 balance bike |
관련 웹사이트
- 스페셜라이즈드 키즈
- 자이언트 유아용
- 트렉 키즈
- 삼천리자전거 아동용
- 토픽 베이비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