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에디터 : 박창민 기자 | 
			올해 대만에서 가장 크게 느낀 점 중에 하나는 도시에서 라이딩을 하는 라이더의 상당수가 미니벨로를 타고 다닌다는 것이었다. 물론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많은 수의 미니벨로가 도로를 장악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까지는 소수 사용자들의 서브 자전거로 취급받았던 미니벨로는 이제 본격적인 자전거 시장에 합류한 듯 보였고, 역시나 타이페이 사이클 2011에서도 다양한 미니벨로를 볼 수 있었다.
대중교통과의 접점에서 강한 면모를 나타내고, 귀여운 외모와 좁은 공간에서도 다루기 쉽다는 장점을 가진 미니벨로들을 살펴보자.
			
		기존까지는 소수 사용자들의 서브 자전거로 취급받았던 미니벨로는 이제 본격적인 자전거 시장에 합류한 듯 보였고, 역시나 타이페이 사이클 2011에서도 다양한 미니벨로를 볼 수 있었다.
대중교통과의 접점에서 강한 면모를 나타내고, 귀여운 외모와 좁은 공간에서도 다루기 쉽다는 장점을 가진 미니벨로들을 살펴보자.
| 대만의 대표적인 미니벨로 브랜드 '다혼(DAHON)', 폴딩 자전거의 대명사처럼 교통과의 연계를 주제로 전시했다. | 
| 폴딩을 했을 때 시내버스도 탈 수 있을 만큼 부피가 작아지는 '캐리미(Carry Me)' | 
| 고성능을 자랑하는 퍼시픽사이클의 리치(REACH) | 
| 리치는 유압디스크 브레이크를 채택하여 미니벨로의 아쉬운 브레이크 성능을 향상시켰다. | 
| 슬라이딩 방식을 활용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미니벨로도 볼 수 있다. | 
| 탑튜브를 들어올리기만 해도 간단히 접히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 | 
| 내구성이 강한 타이타늄을 소재로 가벼운 폴딩 미니벨로를 선보이기도 했다. | 
| 오리바이크(Ori Bike)는 카본 미니 스프린터 스타일을 선보이며, 7kg대의 무게와 폴딩을 자랑했다. | 
| 8kg대의 카본 오리바이크, 폴딩 후 가볍게 들 수 있다. | 
| 색상이 추가된 브롬톤을 만날 수 있다. | 
| 깔끔한 폴딩을 선보이는 브롬톤 관계자 | 
| 삼각형 프레임과 다양한 색상으로 주목받는 스트라이다(STRIDA) | 
| 노트북 컴퓨터의 야외 거치대로의 활용도 보여주고 있는 스트라이다 | 
| 역시나 카본 미니 스프린터도 자주 만날 수 있었다. | 
| '니콜라이'의 드롭바와 풀서스펜션을 활용한 독특한 개념의 미니벨로 | 
| 자전거디자인공모전에서 2위를 차지한 디자인도 실제 모델로 제작되어 전시되었다. | 
| 유독 작은 바퀴의 미니벨로를 자주 만날 수 있었던 이번 전시회에서, 대중교통과 자전거 연계성의 중요함을 느낄 수 있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