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와 친환경 마케팅이 갖는 한계
에디터 : 박창민 기자
'자전거'하면 항상 '친환경'이라는 문구를 내세우며 각종 매체와 언론에서 환경에 대한 문제를 마케팅 방법으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그런 문구는 겉으로 보기에는 참으로 '있어 보이는' 것일 수 있겠지만 실 소비자들에게는 그만큼의 의미가 있을까?

살 곳을 잃어가는 북극곰 이야기도
우리의 생활을 바꿀 수는 없다.

죽어가는 북극곰보다 따뜻한 거실이 더 중요하다.
우리는 작년에 처음으로 북극의 얼음이 녹아서 북극을 통해 배가 지나갈 수 있다는 소식을 각종 언론을 통해 들었다.
그와 함께 눈 위에 사는 북극곰과 산에 사는 회색곰 사이에 태어난 새로운 곰의 탄생도 들으면서 정말 많이 변하기는 했다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런 환경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실제 우리 생활에 영향을 주는가? 여전히 우리는 한 겨울에도 반팔옷을 입고 실내에서 생활할 만큼 난방을 하고, 추운 날에는 너도 나도 승용차를 가지고 나와 도로가 주차장이 될 판이다.
100% 전기로 가는 전기자동차와 전기 모터+내연 기관을 가진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가 시중에 나왔지만 역시 대중적인 보급은 하이브리드가 훨씬 빨랐다. 전기자동차가 더욱 친환경적이지만 충전소의 불편함과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적응 등, 소비자는 그런 대가를 치르면서까지 친환경에 가까와지기는 싫었던 것이다.
우리는 환경에 대해서 항상 이야기를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항상 친환경에 대해 관대한 마음을 갖기보다는 나에게 조금 더 편리한 것에 더 관대해진다.

친환경보다는 편리함이 앞서가야 한다.
자전거에 대해서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탄소배출 '0'의 친환경 제품이라는 홍보보다는 사용자들에게 더욱 와 닿는 것은 편리하고 안전한 자전거 생활이다.
막상 사무실과 40km 정도 떨어진 곳에 살고 있는 필자가 원하는 것은 서울 근교에 저렴한 주차장과 그곳에 함께 있는 자전거 보관소다. 아니면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에 가까운 자전거 보관소라도 좋다.
자전거에 관해 동호인들과 이야기를 해 보면 자전거를 생활화하기 가장 어려운 문제로 적절한 자전거 보관소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처음으로 나온다.
자동차 주차장 사업을 하시는 분들에게 일부분을 자전거 보관소로 활용하면 시설 비용 등을 보조해주는 방법은 어떨까? 뭔가 새롭고 참신한 자전거 생활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다.

자전거를 길가에 주차해 놓고 안심한 적이 있는가?

학교와 자전거의 갈등
지난 번 업체들의 대리점 세미나를 통해 대리점 사장님들을 만나 자전거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그 중 몇 분의 사장님은 학교와 자전거의 갈등에 대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을 했었다.
"교내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사고가 나면 학부모들이 학교장에게 책임을 지라고 하니 학교장 중에 누가 교내에 자전거를 가지고 오라고 하겠어요? 그렇게 자전거 교내 출입이 금지되니까 자전거를 밖에 두고, 그렇게 자전거를 잃어버리면 집에서 자전거를 안 사주고, 이런 갈등이 계속 심화되고 있습니다"라며 학교와 자전거, 그리고 학보모의 갈등에 대한 심각성을 알려 주었다.
학교는 학생들의 친환경 생활과 건강 등을 위해 자전거 생활화를 이야기하고 싶지만, 학부모와의 갈등에 대한 불편함을 책임질 만큼 친환경이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교내에서 자전거를 끌고 다니는 안전한 생활 습관과 도난을 지켜줄 자전거 보관소가 그 어떤 홍보보다 절실할 때다.


2009년, 우리는 친환경이란 마케팅을 통해 지구를 살리는 수백가지 방법을 각종 매체와 언론을 통해 들어왔다. 하지만 그 중 몇가지가 정말 내 마음을 움직였을까?
"친환경, 저탄소" 이런 문구보다 "자전거 안전 보관", "편리한 자전거 도로 진입" 등 지구를 살리는 거창한 문구보다 우리에게 '편리함'을 주는 실생활적인 문구의 홍보가 더 효과적이고 절실할 것으로 보인다.
오늘 아침 LG경제연구원에서 내 놓은 "그린 마케팅이 떨쳐내야 할 5가지 유혹"이라는 글을 읽고 "친환경 자전거, 그린 자전거"라는 거창한 문구가 누구에게는 참으로 유혹적인 것일지 모르겠지만 실생활에서는 나와 동떨어진 이야기처럼 들린다는 부분이 공감되었다.
2010년은 허울 좋은 이야기보다 조금 더 효과적이고 실생활적인 이야기로 국가적인 홍보를 하는 것이 나아가 친환경이고, 대한민국과 지구를 살리는 길이 되지 않을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위의 기사는 개인적인 용도 및 비상업적인 용도의 '퍼가기'를 허용하며, 상업적인 용도의 발췌 및 사진 사용은 저작자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