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마 유무선 속도계, BC 509와 BC 1009
에디터 : 박창민 기자


제품명 시그마(SIGMA) BC 509 유선 속도계
시그마(SIGMA) BC 1009 디지털 무선 속도계
소비자가 BC 509 : 23,000원
BC 1009 : 63,000원
웹사이트 수입 및 공급 :
(주)제논스포츠인터내셔날(www.ixenon.co.kr)

제조 :
시그마 스포츠 (www.sigmasport.com)


늘상 이야기하지만 자전거를 타면서 속도계가 없는 것은 계기판이 없는 자동차를 타는 것과 비슷하다. 내 자신의 속도를 알 수 있게 해 줄 뿐 아니라 다양한 주행 정보들을 제공하여 주니 자전거를 조금만 심도있게 타다보면 필수 아이템이 되는 것이 속도계다.
또한 바이크매거진의 '바이크 다이어리' 서비스를 활용하면 그 활용도가 훨씬 높아지고 나의 과거 기록을 깔끔하게 관리해 주니 더욱 좋다.
이런 자전거 속도계는 크게 두가지 유선과 무선으로 나뉜다. 유선은 바퀴 부분에 장착되는 센서와 단말기를 전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무선은 그 부분이 무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뜻한다.

시그마 BC 509 유선 속도계 설치하기
유선 속도계의 장점은 가벼운 무게와 엄청난 배터리 사용 시간이다. 하지만 선으로 연결하다 보니 깔끔하게 정리하지 못하면 지저분해 보이기도 하고, 잘 못 관리해서 선이 끊어지기라도 하면 낭패다.
사진을 보면서 어떻게 설치하면 최대한 깔끔하고 선이 안전하게 정리되는 지 알아보자.

유선 스피드 센서는 크기가 작아서 설치가 편리하다.
스포크에 설치한 자석과 센서가 만날 때 약 3~5mm 정도 떨어지도록 설치하면 된다.

유선 속도계의 전선은 포크를 감고 올라가서 포크 브레이스를 타고 올가도록 한다.
서스펜션의 움직이는 부분(스텐션)을 감게 되면 선의 길이가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브레이스를 감고 지나간 전선은 앞 브레이크 케이블을 타고 올라가도록 한다.

앞 브레이크 케이블과 핸들바가 가까와지는 곳에서 핸들바에 속도계 마운트를 고정한다.

확실한 마무리를 위해서는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첫번째 고정할 부분은 앞 브레이크 케이블과 전선이 만나는 부분

두번째 고정할 곳은 포크의 브레이스와 전선이 만나는 부분

케이블 타이를 고정할 때는 가능한 케이블 타이의 고정 부분이 전선의 위로 가도록 해서
전선을 너무 강하게 누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시그마 BC 509 세팅하기
유선 BC 509는 버튼이 2개 밖에 없는 단순한 구조다. 뒤에 셋 버튼을 눌러 세팅 모드로 들어가고, 모드 버튼을 사용하여 적당한 값을 입력하면 된다.

유선 속도계 BC 509는 두개의 버튼이 있다.

셋 버튼을 3초간 누르면 세팅 화면으로 전환되어 값을 입력할 수 있다.
모드 버튼을 누르면 세팅 화면이 변경되고, 뒤의 셋 버튼을 한번 누르면 원하는 내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전환된다.


시그마 BC 1009 디지털 무선 속도계 설치하기
무선 속도계의 가장 큰 장점은 간단한 설치와 깔끔한 외관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센서에도 배터리가 들어가게 되어 있어 무게가 늘게 되고, 센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문제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센서의 위치가 움직이기 쉽다.
사진을 보면서 간단한 무선 속도계의 설치를 알아보자.

유선에 비해 크기가 큰 무선 센서와 자석이 3~5mm 간격으로 지나가도록 설치한다.

단말기 마운트를 핸들바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한다.

단말기를 끼우면 끝. 무선은 설치가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하단 마운트의 나사를 풀어 돌려 끼우면 핸들바와 스템에 장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템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그마 BC 1009 무선 디지털 속도계 세팅하기
4개의 버튼을 조금만 만져보면 쉽게 사용방법을 알 수 있는데, 셋 버튼을 3초간 누르면 세팅 화면으로 넘어간다.

시그마 BC 1009는 4개의 각기 다른 기능의 버튼이 있다.

모드1 버튼 : 주행거리, 주행시간, 평균속도, 최고속도, 현재시간
모드2 버튼 : 누적거리, 누적 주행 시간
리셋 버튼 : 주행 기록 삭제
셋 버튼 : 속도계 세팅 화면으로 이동


셋 버튼을 3초간 누르면 언어 선택 화면이 처음 나온다.

모드1 버튼을 이용하면 각 설정 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변경하고자 하는 화면에서 셋 버튼을 누르면 변경할 수 있도록 전환된다.
그 다음 모드2 버튼을 이용하여 값을 변경할 수 있다.

휠사이즈(WHEEL SIZE) 입력하기
속도계 세팅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휠사이즈 입력이다. 입력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어떤 값을 넣어야 하는지 몰라서인데, 시그마 매뉴얼에 보면 3가지 방식으로 입력 값을 구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세팅할 때 입력하여야 하는 휠사이즈는 크게 3가지 계산 방법이 있다.

1. 바퀴의 높이를 측정하여, 그 높이 X 3.14 = 휠사이즈
2. 바퀴를 바닥에 놓고 직선으로 한바퀴 굴린 후 굴러간 거리를 측정
3. 바퀴 옆면에 표시된 사이즈에 따라 표에서 선택


시그마 속도계의 활용
저렴한 가격이 특징인 시그마 유선 속도계 BC 509는 아주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시그마 BC 509의 기능
-현재 속도
-주행 거리
-주행 시간
-누적 거리
-현재 시간
그에 비해 무선 속도계 BC 1009는 더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시그마 BC 1009의 기능
-현재 속도
-주행 거리
-주행 시간
-평균 속도
-최고 속도
-누적 거리
-누적 주행 시간
-현재 시간

시그마 속도계는 깔끔한 디자인의 단말기와 부드러운 느낌의 버튼이 특징이다.

시그마는 트위스트 락 시스템(Twist Lock System)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고정한다.

단말기를 10시 방향으로 마운트에 올려 놓은 후 시계방향으로 돌려 끼우면 고정된다.

시그마 유무선 속도계 BC 509와 BC 1009의 특징 비교
간단하게 외관으로 보면 버튼이 한개만 보이는 유선과 달리 무선은 4개의 버튼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무선 속도계의 단말기 화면이 조금 더 넓은 편이다.
무게로만 본다면 약 10g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둘 다 그렇게 무거운 편은 아니다.
위에서 설명한 기능 상의 차이는 활용에 있어 가장 크게 다른 점이며, 현재 주행한 기록을 삭제하는 리셋 버튼도 그 기능이 다르다.
리셋 버튼의 경우 유선은 가장 일반적인 방식처럼 모드 버튼을 3초간 누르고 있으면 주행 기록이 리셋된다. 하지만 무선의 경우는 리셋 버튼을 3초간 누르면 현재 화면의 주행 기록만 0으로 리셋되고, 나머지 기록은 리셋되지 않는다. 모든 기록을 리셋하고 싶을 때는 0으로 바뀐 화면에서 다시 한번 리셋 버튼을 3초간 누르면 리셋된다.

전체 38g의 유선 속도계 시그마 BC 509
초경량 무선 속도계보다도 10g 이상 가볍다.

전체 49g의 디지털 무선 속도계 시그마 BC 1009
단말기만의 무게는 초경량 속도계보다 무거운 편이지만 전체 무게는 50g 내외로 같다.

유선 BC 509 속도계는 하단의 버튼을 3초간 누르면 주행 내용이 리셋된다.

디지털 무선 BC 1009는 상단의 리셋 버튼을 3초간 누르면 현재 화면의 값이 리셋되고,
다시 한번 3초간 누르면 모든 값들이 리셋된다.

무선 속도계를 구매할 때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인증 스티커를 확인하자.


유선 속도계 BC 509의 구매포인트:
- 저렴한 가격으로 품질 좋은 시그마 속도계를 구매할 수 있다.
- 가볍고 오래가는 배터리 성능
- 시그마 속도계의 버튼 느낌은 거의 최상급이다.
- 복잡한 기능보다 단순한 기능을 좋아하는 사용자라면 추천

유선 속도계 BC 509의 아쉬운 점:
- 필자처럼 유선 속도계를 좋아하는 사용자에게는 기능이 조금 단순한 편이다.

시그마 속도계의 버튼 느낌은 거의 최상급이다.

디지털 무선 속도계 BC 1009의 구매포인트:
- 디지털 무선 방식으로 외부 전파에 의한 간섭이 없다.
- 기본 7가지 속도계 기능 외에 누적 주행 시간까지 보여주는 센스가 돋보인다.
- 하나의 기록만 리셋할 수 있어 상황에 따른 활용도가 높다.
-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조절할 수 있다.
- 디지털 무선 방식 속도계로는 매우 저렴한 가격

무선 속도계 BC 1009의 아쉬운 점:
- 버튼마다 기능이 분리되어 있어, 익숙하면 좋지만 처음 사용자에게 조금 복잡한 느낌을 준다.

유선과 무선 어떤 것이 내 기호에 맞을까?

최근 휴대폰, 무선 네트워크, 무전기, 라디오, DMB 등 무수히 많은 무선 데이터들이 우리의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 주위를 돌아다니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무선 속도계는 다른 데이터들과의 간섭에 의해 이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디지털 무선 속도계인데 시그마는 예전부터 디지털 무선 속도계를 계속 출시하며 그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이런 무선과의 차별화를 둔 가장 오래된 유선 속도계의 방식은 가장 안정적이고 오차가 적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속도계의 선택, 유선과 무선 중 입맛에 맞는 것으로 골라보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위의 기사는 개인적인 용도 및 비상업적인 용도의 '퍼가기'를 허용하며, 상업적인 용도의 발췌 및 사진 사용은 저작자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2010-04-26 10:12:57
디지털 무선 방식이 대략 중요한 거였나보네요.. 항상 무선은 다 비슷한 거라고 생각했는데......
무선 속도계가 저는 맘에 듭니다.^^
2010-04-26 10:16:42
탄천라이딩중 가든파이브영역을 지날때 항상 무선속도계가 한동안 먹통이 되더군요;; 디지털 방식이라 간섭이 매우 적을 것 같습니다. ^^ 시그마에서 요즘 신제품이 많이 출시되는군요.
2010-04-26 11:11:14
시그마 속도계 가격도 저렴하고 디자인도 깔끔하네요,

저역시도 선처리 땜에 유선보다는 무선을 더 선호합니다

거기다 디지탈 무선방식이니 외부 전파에 영향도 적을듯하고

구매포인트에 매력이 있을듯 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10-04-26 14:27:57
아.....이리 써놓으시면...전 더 고민에 빠지게 되는데...아...기본기능은 다 설명해놓으셨네...근데..무선 속도계 1009 sts 마운트... 밑에 보면 십자 볼트 없나요.. 그거 돌리면 스템 마운트용으로 바꿀 수 있는거 같던데요..1009 모델은 안되는 건지 궁금하네요
2010-04-28 08:49:21
무선의 편의성이 맘에 드네요..
2010-04-28 09:49:23
꼬마비님 고맙습니다.
스템 고정 방식이 아래 볼트를 풀어서 마운트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네요.^^
기사 내용 수정하였습니다.
2010-04-28 20:13:37
유선 속도계도 선때문에 그렇지, 괜찮은것 같습니다.~
2010-04-29 03:34:30
유선을쓰다가 선이 끊어져 속도계를 버린적이 있어서 무선이 더 맘에 듭니다..ㅋㅋ
2010-04-29 09:07:13
무선속도계가 전파방해가 되지 않는 디지탈이라...
지름신이 옆에서 귀를 간지럽히고 있네요.
2010-04-29 09:30:20
전파 방해는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보통 10만원 미만의 무선들은 대부분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데, 전화, 무선랜, 무전기, 고압전류 등에 의해 극단적인 값을 나타내곤 하거든요.
간혹 보는 최고속도 120km/h, 이런게 전파방해때문이죠.ㅎㅎ
2010-04-29 14:03:22
제 얘기군요.. 시속 125가 찍였던 적이 있던데...전 제가 짐승된 줄 알았어요..ㅋㅋㅋ
2010-05-04 07:49:36
무선속도계는 다 디지털인줄 알았는데...-_-
제 속도계의 이상한 최고속도도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해서 그런거였었군요.
2010-05-04 17:10:17
속도계는 역시 무선이죠..ㅋ
2010-05-04 18:05:05
우워..저거 달고 불바 끝 잡고 우리집 근처에있는 내리막길 타고내려가면 얼마나 나올까요ㅋㅋㅋ
2010-05-06 13:10:02
중국에서는 다양한 모델들이 출시중인데 ...한국은 이 두가지 모델만 출시되었는지요?? ^^
2010-05-12 15:17:11
속도계는 무속이 좋은거에요 유선이 좋은건지? 초보라이더라
2010-06-18 13:54:02
시그마 속도계를 구입할려고 하는 중인데, 이런사이트가 있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다른 모델 소개도 있었으면 하네요.